본문 바로가기
기타 일반

이불 버리는 방법

by 뉴욕 여자 2022. 8. 21.

오늘은 이불 버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철이나 여름철이 되면 아마 침구 정리 및 옷 정리를 가장 많이 하실텐대요. 이 때 오래된 침구는 버리기 마련이지요. 하지만 이불의 경우에는 잘못 버리면 과태로를 맞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불 버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불 버리는 방법

 

일단은 기본적으로 자치구에 따라 버리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방법이 일부 다를 수 있다는 점은 참고하시고 봐주시길 바랍니다.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보통 처리를 하는데요. 하나는 대형 폐기물로 분류를 해 처리하는 방법이 있고, 나머지 하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로 분류해 버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에 위 방법을 지키지 않고 버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를 매길 수 있다는데요. 이불 하나 버리는데 실수로 100만원을 과태료로 내면 얼마나 아까울까요..가뜩이나 고물가 시대인데 너무 가슴아플 수 있습니다. 그러니 꼭 아래 방법을 참고하시고 자치구 방법도 참고하셔서 현명하게 버리시길 바랍니다.

 

 

  • 대형폐기물로 버리는 방법
    • 대형 폐기물로 처리해 버릴려고 한다면 기본적으로 스티커를 받아야 합니다. 해당 스티커는 어떻게 보면 나 정식으로 신고하고 버리는 거에요 라는 인증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게 없으면 아예 가져가지를 않죠. 해당 스티커는 동네 주민센터나 구청에 판매를 하고 보통 한개당 1~2천원 가량 하며, 베개의 경우에는 0.5~2천원 정도 합니다.
    • 이는 크기나 무게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라며, 아무래도 여름 침구류 보다는 겨울 침구류가 버리는데 더 손이 많이 가는 것은 사실이겟죠.

 

만약에 대형 폐기물 분류 없이 그냥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버려도 되는 경우라면 솜을 잘 분리해서 분리수거 후에 버려주시면 되겠습니다. 근데 아마도 환경부 자체에서 대형 폐기물로 처리하여 버려라라고 가이드 라인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왠만하면 대형 폐기물로 처리하는 것이 안전하지 않을까 싶네요.

 

 

 

 

 

마무리하며

 

이상으로 오늘 이불 버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모로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잘 참고하셔서 꼭 활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과태료 폭탄맞으면 넘나 아까울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댓글